Skip to content

Commit 03c14ea

Browse files
committed
Translate the questions 31-40 to Korean
1 parent ecbc6a7 commit 03c14ea

File tree

1 file changed

+37
-36
lines changed

1 file changed

+37
-36
lines changed

README-ko_KR.md

Lines changed: 37 additions & 36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163,7 +163,7 @@ const mouse = {
163163

164164
#### 정답: A
165165

166-
JavaScript에서, 모든 객체 키는 문자열이에요 (Symbol이 아닌 한). 비록 그것을 문자열 _타입_ 으로 입력하지 않아도, 항상 내부적으로 문자열로 변환되요.
166+
JavaScript에서, 모든 객체 키는 문자열이에요 (Symbol이 아닌 한). 비록 그것을 문자열 __ 으로 입력하지 않아도, 항상 내부적으로 문자열로 변환되요.
167167

168168
JavaScript는 문장을 해석(또는 박스해제)해요. 대괄호 표기를 사용하면, 첫 번째 좌대괄호 `[`를 보고 오른쪽 대괄호 `]`를 찾을 때까지 진행해요. 그때, 그 문장을 평가할거에요.
169169

@@ -239,7 +239,7 @@ console.log(b === c);
239239

240240
`==`연산자를 사용할 때, 그건 같은 __ 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만 확인해요. 그것들은 모두`3`의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, `true`를 리턴해요.
241241

242-
그러나, `===`연산자를 사용할 때, 값 __ 타입 둘다 같아야 해요. 이건 아니에요: `new Number()`는 숫자가 아니에요. **객체**에요. 그래서 둘다 `false`를 리턴해요.
242+
그러나, `===`연산자를 사용할 때, 값 __ 둘다 같아야 해요. 이건 아니에요: `new Number()`는 숫자가 아니에요. **객체**에요. 그래서 둘다 `false`를 리턴해요.
243243

244244
</p>
245245
</details>
@@ -363,7 +363,7 @@ console.log(member.getFullName());
363363

364364
#### 정답: A
365365

366-
보통의 객체처럼 생성자에는 속성을 추가할 수 없어요. 한 번에 모든 객체에 기능을 추가하고 싶다면, 프로토 타입을 사용해야 해요. 그래서 이 경우에,
366+
보통의 객체처럼 생성자에는 속성을 추가할 수 없어요. 한 번에 모든 객체에 기능을 추가하고 싶다면, 프로토타입을 사용해야 해요. 그래서 이 경우에,
367367

368368
```js
369369
Person.prototype.getFullName = function() {
@@ -470,7 +470,7 @@ sum(1, "2");
470470

471471
#### 정답: C
472472

473-
JavaScript는 **동적으로 만들어진 언어**에요: 특정변수가 어떤 타입인지 지정하지 않아요. 변수는 당신이 모르는 사이에 자동으로 다른 타입으로 변환 될 수 있는데, 이걸 _암묵적 타입 변환_ 이라고 불러요. **Coercion**은 하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거에요.
473+
JavaScript는 **동적으로 만들어진 언어**에요: 특정변수가 어떤 형인지 지정하지 않아요. 변수는 당신이 모르는 사이에 자동으로 다른 형으로 변환 될 수 있는데, 이걸 _암묵적 변환_ 이라고 불러요. **Coercion**은 하나의 형을 다른 형으로 변환하는 거에요.
474474

475475
이 예제에서, 함수가 이해하고 값을 리턴하도록, JavaScript는 숫자 `1`을 문자열로 변환해요. 수형 (`1`)와 문자열형 (`'2'`)의 추가 중에는, 숫자는 문자열로 취급되요. `"Hello" + "World"`처럼 문자열을 연결할 수 있어요, 따라서 여기 `"1" + "2"``"12"`을 리턴하는 일이 발생해요.
476476

@@ -932,7 +932,7 @@ WebAPI는 준비가 될때 마다 stack에 항목을 추가 할 수 없어요.
932932

933933
---
934934

935-
###### 31. What is the event.target when clicking the button?
935+
###### 31. 버튼을 클릭했을때 event.target은 무엇일까요?
936936

937937
```html
938938
<div onclick="console.log('first div')">
@@ -944,24 +944,24 @@ WebAPI는 준비가 될때 마다 stack에 항목을 추가 할 수 없어요.
944944
</div>
945945
```
946946

947-
- A: Outer `div`
948-
- B: Inner `div`
947+
- A: 외부의 `div`
948+
- B: 내부의 `div`
949949
- C: `button`
950-
- D: An array of all nested elements.
950+
- D: 중첩된 모든 요소의 배열
951951

952952
<details><summary><b>정답</b></summary>
953953
<p>
954954

955955
#### 정답: C
956956

957-
The deepest nested element that caused the event is the target of the event. You can stop bubbling by `event.stopPropagation`
957+
가장 깊이 중첩된 요소가 이벤트를 발생시킬 이벤트 대상이에요. `event.stopPropagation`을 통해서 버블링을 중단 할 수 있어요.
958958

959959
</p>
960960
</details>
961961

962962
---
963963

964-
###### 32. When you click the paragraph, what's the logged output?
964+
###### 32. p태그를 클릭하면 로그의 출력은 무엇일까요 ?
965965

966966
```html
967967
<div onclick="console.log('div')">
@@ -981,7 +981,7 @@ The deepest nested element that caused the event is the target of the event. You
981981

982982
#### 정답: A
983983

984-
If we click `p`, we see two logs: `p` and `div`. During event propagation, there are 3 phases: capturing, target, and bubbling. By default, event handlers are executed in the bubbling phase (unless you set `useCapture` to `true`). It goes from the deepest nested element outwards.
984+
`p`를 클릭하면, 2개의 로그를 볼 수 있어요: `p` 그리고 `div`. 이벤트의 전파 중에는 3 단계가 있어요: 캡처링, 타켓, 버블링. 기본적으로, 이벤트 핸들러는 버블링단계에서 시작되요. (`useCapture``true`로 설정하지 않는 한). 가장 깊게 중첩된 요소로 부터 바깥쪽으로 나가요.
985985

986986
</p>
987987
</details>
@@ -1011,9 +1011,9 @@ sayHi.bind(person, 21);
10111011

10121012
#### 정답: D
10131013

1014-
With both, we can pass the object to which we want the `this` keyword to refer to. However, `.call` is also _executed immediately_!
1014+
두개 모두, `this`키워드를 참조하고자하는 객체로 보낼 수 있어요. 그러나, `.call`_즉시 실행되요_!
10151015

1016-
`.bind.` returns a _copy_ of the function, but with a bound context! It is not executed immediately.
1016+
`.bind.`는 함수의 _복사본_ 을 리턴하지만, 바인딩 컨텍스트에요! 이건 즉시 실행되지 않아요.
10171017

10181018
</p>
10191019
</details>
@@ -1040,16 +1040,16 @@ typeof sayHi();
10401040

10411041
#### 정답: B
10421042

1043-
The `sayHi` function returns the returned value of the immediately invoked function (IIFE). This function returned `0`, which is type `"number"`.
1043+
`sayHi`함수는 즉시 호출 함수(IIFE)로서 리턴된 값을 리턴해요. 이 함수는 `0`을 리턴하고, 형은 `"number"`이에요.
10441044

1045-
FYI: there are only 7 built-in types: `null`, `undefined`, `boolean`, `number`, `string`, `object`, and `symbol`. `"function"` is not a type, since functions are objects, it's of type `"object"`.
1045+
참고: 단 7개의 내장형이 있어요: `null`, `undefined`, `boolean`, `number`, `string`, `object` 그리고 `symbol`. `"function"`은 객체이기 때문에 형이아니라 `"object"` 형이에요.
10461046

10471047
</p>
10481048
</details>
10491049

10501050
---
10511051

1052-
###### 35. Which of these values are falsy?
1052+
###### 35. 이 값들 중 어느 것이 거짓 같은 값 일까요?
10531053

10541054
```javascript
10551055
0;
@@ -1063,23 +1063,23 @@ undefined;
10631063
- A: `0`, `''`, `undefined`
10641064
- B: `0`, `new Number(0)`, `''`, `new Boolean(false)`, `undefined`
10651065
- C: `0`, `''`, `new Boolean(false)`, `undefined`
1066-
- D: All of them are falsy
1066+
- D: 모든 값은 거짓
10671067

10681068
<details><summary><b>정답</b></summary>
10691069
<p>
10701070

10711071
#### 정답: A
10721072

1073-
There are only six falsy values:
1073+
단 6개의 거짓 값이 있어요:
10741074

10751075
- `undefined`
10761076
- `null`
10771077
- `NaN`
10781078
- `0`
1079-
- `''` (empty string)
1079+
- `''` (빈 문자열)
10801080
- `false`
10811081

1082-
Function constructors, like `new Number` and `new Boolean` are truthy.
1082+
`new Number` 그리고 `new Boolean`와 같은 생성자 함수는 참같은 값이에요.
10831083

10841084
</p>
10851085
</details>
@@ -1102,8 +1102,8 @@ console.log(typeof typeof 1);
11021102

11031103
#### 정답: B
11041104

1105-
`typeof 1` returns `"number"`.
1106-
`typeof "number"` returns `"string"`
1105+
`typeof 1` `"number"`을 리턴해요.
1106+
`typeof "number"``"string"`을 리턴해요.
11071107

11081108
</p>
11091109
</details>
@@ -1128,11 +1128,12 @@ console.log(numbers);
11281128

11291129
#### 정답: C
11301130

1131-
When you set a value to an element in an array that exceeds the length of the array, JavaScript creates something called "empty slots". These actually have the value of `undefined`, but you will see something like:
1131+
배열의 길이를 초과한 값을 배열의 요소로 설정하고자 할때, JavaScript는 "empty slots"이라고 불리는 것을 생성해요. 이것은 실제로 `undefined`의 값을 가지고 있지만, 다음과 같은 것을 보게 될거에요:
11321132

11331133
`[1, 2, 3, 7 x empty, 11]`
11341134

11351135
depending on where you run it (it's different for every browser, node, etc.)
1136+
실행 위치에 따라 달라요 (브라우저, node 등마다 달라요.)
11361137

11371138
</p>
11381139
</details>
@@ -1165,34 +1166,34 @@ depending on where you run it (it's different for every browser, node, etc.)
11651166

11661167
#### 정답: A
11671168

1168-
The `catch` block receives the argument `x`. This is not the same `x` as the variable when we pass arguments. This variable `x` is block-scoped.
1169+
`catch`블록은 `x`의 인자를 받아요. 이것은 인수를 전달할때 변수로서의 `x`와는 달라요. 이 `x` 변수는 블록-스코프에요.
11691170

1170-
Later, we set this block-scoped variable equal to `1`, and set the value of the variable `y`. Now, we log the block-scoped variable `x`, which is equal to `1`.
1171+
후에, 블록-스코프 변수는 `1`로 설정하고, 변수 `y`의 값을 설정해요. 여기서, 블록-스코프의 변수 `x`를 출력하는데, 이것은 `1`이에요.
11711172

1172-
Outside of the `catch` block, `x` is still `undefined`, and `y` is `2`. When we want to `console.log(x)` outside of the `catch` block, it returns `undefined`, and `y` returns `2`.
1173+
`catch` 블록 밖에서, `x`는 여전히 `undefined`이고 `y``2`이에요. `catch` 블록 밖에서 `console.log(x)`를 출력하면, `undefined`을 리턴하고. 그리고 `y``2`를 리턴해요.
11731174

11741175
</p>
11751176
</details>
11761177

11771178
---
11781179

1179-
###### 39. Everything in JavaScript is either a...
1180+
###### 39. JavaScript의 모든 것은...
11801181

1181-
- A: primitive or object
1182-
- B: function or object
1183-
- C: trick question! only objects
1184-
- D: number or object
1182+
- A: primitive 또는 object
1183+
- B: function 또는 object
1184+
- C: 함정 문제! objects만
1185+
- D: number 또는 object
11851186

11861187
<details><summary><b>정답</b></summary>
11871188
<p>
11881189

11891190
#### 정답: A
11901191

1191-
JavaScript only has primitive types and objects.
1192+
JavaScript는 원시형과 객체만 가지고 있어요.
11921193

1193-
Primitive types are `boolean`, `null`, `undefined`, `bigint`, `number`, `string`, and `symbol`.
1194+
원시형은 `boolean`, `null`, `undefined`, `bigint`, `number`, `string` 그리고 `symbol`이 있어요.
11941195

1195-
What differentiates a primitive from an object is that primitives do not have any properties or methods; however, you'll note that `'foo'.toUpperCase()` evaluates to `'FOO'` and does not result in a `TypeError`. This is because when you try to access a property or method on a primitive like a string, JavaScript will implicity wrap the object using one of the wrapper classes, i.e. `String`, and then immediately discard the wrapper after the expression evaluates. All primitives except for `null` and `undefined` exhibit this behaviour.
1196+
원시형과 객체를 구별하는 법은 원시형에는 속성이나 메소드가 없어요. 그러나 `'foo'.toUpperCase()``'FOO'`로 평가되어, `TypeError`의 결과가 되지 않아요. 문자열과 같은 원시형이 속성 또는 메소드에 접근하려고 할때, JavaScript는 래퍼 클래스 중 하나인 `String`을 사용하여 암묵적으로 감싸고, 표현식이 평가된 후 즉시 래퍼를 폐기하기 때문이에요. `null` 그리고 `undefined`를 제외한 모든 원시형은 이러한 행동을 합니다.
11961197

11971198
</p>
11981199
</details>
@@ -1220,9 +1221,9 @@ What differentiates a primitive from an object is that primitives do not have an
12201221

12211222
#### 정답: C
12221223

1223-
`[1, 2]` is our initial value. This is the value we start with, and the value of the very first `acc`. During the first round, `acc` is `[1,2]`, and `cur` is `[0, 1]`. We concatenate them, which results in `[1, 2, 0, 1]`.
1224+
`[1, 2]`은 초기값이에요. 이것이 최초의 값으로, 제일 처음의 `acc`의 값이에요. 처음 라운드 동안에 `acc``[1,2]`이며, `cur``[0, 1]`이에요. 그것들을 연결하면 결과적으로 `[1, 2, 0, 1]`이 되요.
12241225

1225-
Then, `[1, 2, 0, 1]` is `acc` and `[2, 3]` is `cur`. We concatenate them, and get `[1, 2, 0, 1, 2, 3]`
1226+
그리고나서, `[1, 2, 0, 1]``acc`이고, `[2, 3]``cur`이 에요. 그것들을 연결하면 `[1, 2, 0, 1, 2, 3]`을 얻게되요.
12261227

12271228
</p>
12281229
</details>

0 commit comments

Comments
 (0)